교육활동
                [2012년2학기]
                대외교류를 통해 본 세계 속의 한국 
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| 주 | 일 자 | 강 의 내 용 | 강 사 | 
| 1 | 9. 6 | 구석기시대의 대외교류 | 이융조(충북대학교 명예교수) | 
| 2 | 9.13 | 고대 북방교류에 대하여 | 홍형우(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) | 
| 3 | 9.20 | 고조선의 대외교류 | 송호정(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) | 
| 4 | 10. 4 | 백제의 개방성과 대외활동 | 양기석(충북대학교 박물관장) | 
| 5 | 10.11 | 고구려 벽화를 통해 본 대외교류 | 전호태(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) | 
| 6 | 10.18 | 신라, 장보고를 통해 해상무역을 석권하다 | 권덕영(부산외국어대학교 역사관광학과 교수) | 
| 7 | 10.25~26 | 답 사(1박 2일) | 
 | 
| 8 | 11. 1 | 고려삼의 수출길, 인삼로드 | 양승윤(한국외국어대학교 말레이-인도네시아어과 교수) | 
| 9 | 11. 8 | 해저유물로 살펴본 대외교류 | 임경희(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) | 
| 10 | 11.15 | 실크로드와 동서문화교류 | 정수일(한국문명교류연구소 소장) | 
| 11 | 11.22 | 답 사(1일) | 
 | 
| 12 | 11.29 | 조선 역관의 삶과 활동 | 김양수(청주대학교 명예교수) | 
| 13 | 12. 6 | 조선통신사를 통해 본 일본과의 대외교류 | 손승철(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) | 
| 14 | 12.13 | 천주교의 전래와 서양문물의 수용 | 조 광(고려대학교 명예교수) | 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