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활동
                [2006년2학기]
                한국의 공예 
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| 주 | 일 자 | 강 의 내 용 | 강 사 | 
| 1 | 9. 7 | 선사시대토기의 출현과 전개 | 신숙정(한강문화재연구원 원장) | 
| 2 | 9. 14 | 한국의 토우 | 민병훈(국립전주박물관 학예실장) | 
| 3 | 9. 21 | 한국의 건축문화와 기와 | 심광주(한국토지박물관 학예실장) | 
| 4 | 9. 28 | 답 사 | |
| 5 | 10. 4 | 한국 고대 토기문화의 발달 | 성정용(충북대학교 교수) | 
| 6 | 10. 12 | 한국의 도자기 가마와 제작기술 | 정기훈(조선관요박물관 학예연구팀장) | 
| 7 | 10. 19 |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| 김영원(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) | 
| 8 | 10. 26 | 답 사 | |
| 9 | 11. 2 | 고려청자 | 윤용이(명지대학교 교수) | 
| 10 | 11. 9 | 조선백자의 특징과 변화 | 전승창(삼성미술관LEEUM학예실장) | 
| 11 | 11. 16 | 동서(東西) 도자의 교류 | 장남원(이화여자대학교 교수) | 
| 12 | 11. 23 | 답 사 | |
| 13 | 11. 30 | 수중고고학과 도자기 | 김병근(국립해양유물전시관 학예연구사) | 
| 14 | 12. 7 | 한국의 질그릇 전통 (陶器):고려,조선 | 나선화(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학예실장) | 
| 15 | 12. 14 | 일본의 도자기 | 이종민(충북대학교 교수) | 



